본문 바로가기
ETF 분석

경제적 자유를 위한 ETF 분석 3. PLUS 고배당주

by 용산커리 2024. 12. 27.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위해 공부하는 용산커리입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배당주 ETF인 한화자산운용의 PLUS 고배당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1. 개요

출처 : 한화투자증권

 

한화자산운용이 운용하는 이 ETF는 국내 고배당 주식에 투자하는 상품이에요. 순자산 총액 약 4,500억원의 비중있는 ETF이며,

에프앤가이드가 산출하는 고배당주 지수를 추종하며, 2012년 8월에 설정되었습니다.

투자위험등급은 2등급(높은 위험)이며,

퇴직연금 투자가 가능한 상품입니다.

 

2. 주요 종목과 특징

출처 : 한화투자증권

 

주요 구성종목 Top 10과 주요기업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업은행(5.18%): 중소기업 대출 강점, 높은 배당수익률
  • SK텔레콤(4.23%): 통신업계 1위, AI·디지털 사업 확장
  • 우리금융(4.10%): 은행 대표주자, 안정적 배당정책
  • NH투자증권(4.04%): 증권업계 선두그룹, 안정적 수익구조

3. 이슈 기업

딱히 선정할만한 이슈기업은 없어요. 큰 폭의 성장은 없어도 무난하고 안정적으로 수익을 내고 배당을 주는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 주가 분석

출처 : 한화투자증권

이 ETF의 현재 주가(12월 20일 기준)는 14,586원이며, 최근 약간 하락했지만 기간을 높게 보고 살펴보면 설정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요. 최근 1년간 29.38%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특히 고배당주에 대한 관심 증가로 거래가 활발합니다. 종목 구성이 60 여개로 안정적이며,

시장 상황에 맞춰 1년에 2번 정기적으로 리밸런싱을 실시합니다.

 

5. 수익률

출처 : 한화투자증권

  • 1개월: -3.93%
  • 3개월: -3.54%
  • 6개월: 2.72%
  • 1년: 29.38%
  • 상장이후: 130.66%

 

특히 벤치마크 지수 대비 양호한 초과성과를 보이고 있어요. 1년 기준으로 기초지수보다 6%p

이상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6. ETF의 특징

에프앤가이드 고배당주 지수의 구성 방식이

특징적이며 전형적인 고배당 ETF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 종목 선정 기준

  • 유가증권시장 상장 보통주 중 유동성과               재무건전성 요건 충족
  • 시가총액 상위 200종목 중에서 선별
  • 60일 평균 거래대금 상위 85% 이내

2) 재무 건전성

  • 최근 3년간 2년 이상 적자 기업 제외
  • 배당 지속성과 안정성 중시

3) 정기 변경

  • 매 6월, 12월 선물옵션만기일 포함 5영업일 시장 상황 변화 반영

 

7. ETF의 장단점

장점

  • 검증된 우량 배당주에 분산투자 가능
  • 정기적인 리밸런싱으로 포트폴리오 최적화
  • 운용보수가 연 0.23%로 저렴한 편

 

단점

  • 금리 상승기에 배당주 약세 가능성
  • 특정 섹터 쏠림 현상 발생 가능
  • 시장 하락기에 변동성 위험

8. 보수

총 보수는 연 0.23%로 구성됩니다

  • 운용보수: 0.19%
  • 판매보수: 0.01%
  • 신탁보수: 0.02%
  • 사무관리: 0.01%

9. 관련 ETF

KODEX 고배당, TIGER 배당성장, KBSTAR 고배당 등이 있어요. 각각의 지수 구성과 보수, 운용전략에서 차이가 있으니 비교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0. 투자 시 주의점

  • 시장 상황에 따라 배당주 투자 심리가 악화될 수 있어요
  •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 고려 필요
  • 개별 종목의 배당정책 변경 가능성 존재
  • 증권시장 침체 시 변동성 위험

11. 종합의견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추구하면서도 성장성을 놓치지 않으려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ETF예요.

우량 기업 위주의 포트폴리오와 합리적인 운용보수가 장점이며, 최근의 성과도 양호합니다.

 

다만 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만큼 금리정책과 시장상황에 따른 변동성에 유의하시고, 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 ETF 분석으로 또 돌아오겠습니다!